본문: 마태복음 6:9~13
제목: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본문은 예수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의 모범입니다. 기도의 시작인 ‘하늘에 계신’이란 말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전지전능하시며, 초월해 계신 하나님께 대한 무한한 소망과 깊은 신뢰를 안고, 또한 하늘나라가 진정 자신들의 본향임을 인식하고, 기도할 것을 바라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깊은 뜻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 아버지’는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받은 성도들의 신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기’를 구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이름은 그분이 누구이신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는 자’이시며, 그가 자신을 계시하시는 대로의 그 자신이십니다. 따라서 그의 이름에는 거룩하신 인격과 능력과 권위도 함께 합니다. 그리고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라는 것은 그분의 거룩한 이름의 가치만큼 거룩하게 대접받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나라가 임하옵시며”입니다. ‘나라’는 하나님께서 영원히 거룩하시듯, 또한 절대적인 주권을 가지시고, 영원히 통치하심을 말씀합니다. 나라가 ‘임하시오며’는 사람들이 하나님께 머리 숙여 복종하고, 또 구원의 종말론적 축복을 미리 누림에 따라 하나님의 구속적 통치가 계속 확장되게 해달라는 기도이며, 그 나라가 완성되게 해달라는 기도입니다.
또한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입니다. 이 말은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하늘에서 온전히 성취된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기도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우리 개인의 신앙과 생활에 실제 필요한 내용들입니다. 먼저 ‘양식’에 관한 것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에서 ‘오늘’은 ‘오늘’ 또는 ‘지금’이란 뜻으로, ‘그날’ 하루의 양식입니다. 주기도문은 우리의 필요에 대한 요구이기 때문입니다.
‘일용할’이라는 말은 ‘오늘 필요한’, ‘매일 필요한’ 등의 뜻으로 이해되며, ‘양식’은 실제의 음식물과 더 나아가서는 우리 인간이 물질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우리의 매일의 필요를 충족하여주기를 겸손히 구해야 할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입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사죄와 우리의 사죄 중에 어떤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가?’입니다. 여기서 분명히 우리의 용서가 하나님의 용서에 대한 근거로써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 죄 사함을 받은 확신이 있는 성도는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지은 죄를 용서할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시옵소서.”입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살면서 시험에 들기 쉽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기도하라는 것입니다. 주님은 우리의 연약함을 너무 잘 알고 계시기 때문에 이와 같이 기도할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송영이 이어집니다.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이 부분은 신학적으로 깊고, 문맥상으로 적절합니다. 성부의 창조와 섭리는 우리에게 양식을 공급해 주고, 성자의 속죄는 우리의 용서를 확보해 주며, 성령의 내주하시는 능력은 우리의 안전과 승리를 보장합니다. ‘나라’는 하나님께서 왕으로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나라를 가리킵니다.
그러면 우리가 하나님께 응답을 받기 위해서 어떻게 기도해야 할까요? 먼저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구하는 기도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응답 될 때까지 기도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기도하고 구한 것은 받은 줄로 믿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