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

복음의 삶

2023년 12월 20일 수요성서연구

본문: 출애굽기 20장 8~12절
제목: 안식일 성수와 부모 공경을 해야하는 이유
  • 문: 하나님은 넷째 계명과 다섯째 계명에서 무엇을 명하십니까?
  • 답: 하나님은 넷째 계명에서 안식일에 공예배와 개인 예배를 드리고, 일상적인 업무를 하지 말며, 주님과 다른 사람들을 섬기면서 영원한 안식을 고대하라고 명하셨습니다. 다섯째 계명에서 부모님을 사랑하고 공경하며, 그들의 경건 훈련과 가르침에 순종하라고 명하셨습니다.

십계명은 구약시대에 주어진 하나님의 명령입니다. 그렇다 보니 신약시대 이후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옛 법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라는 말씀은 주일을 지키는 기독교인들에게는 이해 충돌로 여겨집니다. 기독교는 안식일이 아닌 주님의 날, 즉 주일을 지킴으로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고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신 일들을 기억함으로 감사와 찬송으로 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율법을 폐기해야할까요? 십계명을 지키지 않아도 될까요? 그러나 예수님은 율법을 폐하지 않고 온전하게 하시려고 오셨다고 말씀합니다. 이 뜻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왜 기독교는 유대교가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듯 주일을 거룩하게 지켜야할까요? 더 나아가 거룩하게 지킨다는 의미를 어디까지 이해하고 실천해야할까요? 이것이 십계명의 네 번째 계명과 연관된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다섯째 계명은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십계명에서 다섯째 계명은 위치에 따라 관점이 달라집니다. 십계명은 간단하게 하나님 사랑, 그리고 이웃 사랑이라는 두 축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학자들의 견해에 따라 다섯째 계명을 어디에 넣느냐가 논쟁이 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다섯째 계명이 하나님 사랑에 위치한다면, 단순히 육신의 부모를 향한 윤리적이며 도덕적 사랑을 넘어 근원적인 하나님 사랑의 예표로 부모를 사랑해야 할 것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넷째와 다섯째 계명을 함께 묶어 살피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 출애굽기 20장 8~12절
    8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9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10 일곱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너나 네 아들이나 네 딸이나 네 남종이나 네 여종이나 네 가축이나 네 문안에 머무는 객이라도 아무 일도 하지 말라 11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일곱째 날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그 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 12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
  • 신명기 5장 8-16절
    12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안식일을 지켜 거룩하게 하라 13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14 일곱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너나 네 아들이나 네 딸이나 네 남종이나 네 여종이나 네 소나 네 나귀나 네 모든 가축이나 네 문 안에 유하는 객이라도 아무 일도 하지 못하게 하고 네 남종이나 네 여종에게 너 같이 안식하게 할지니라 15 너는 기억하라 네가 애굽 땅에서 종이 되었더니 네 하나님 여호와가 강한 손과 편 팔로 거기서 너를 인도하여 내었나니 그러므로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명령하여 안식일을 지키라 하느니라 16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령한 대로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고 복을 누리리라
Share the Post:

Related Posts

2025년 2월 12일 수요성서연구

본문: 히브리서 3:1-6 제목: 예수를 깊이 생각하라   오늘 본문은 우리를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며, 또한 우리는 부르심을 받았기에 형제와 자매로 하나님의 거룩한 한 가족이 되었습니다.   어떻게

Read More

2025년 2월 5일 수요성서연구

본문: 누가복음 9:28-36 제목: 구원을 받았다는 것은?   이단 중에 일명 ‘구원파’라고 부르는 단체가 있습니다. 지금은 3개로 나뉘어져 있지만 교리는 거의 비슷합니다. 이들의 교리 중에는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구원받은 사람들은 다시 죄를 지어도 상관없다’, ‘회개를 계속하는 것은

Read More